
이전 글에서 비트에 대해서 이해를 했으니 이제 비트 연산자를 공부해 볼 차례이다. 기본적으로 비트단위연산자는 비트를 비교해서 또 다른 숫자를 나타내는 것이다(기본목적). NOT 먼저 순서대로, NOT 연산자부터 보자 NOT 연산자는 비트 반전이므로, 0이 1로 1이 0으로 반전되는 것을 의미한다. int Left = 1; int Right = 3; int Result = 0; // 0b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; // 0b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; // Not 비트 반전. Left = ~Left; // -2 AND 두개의 비트는 비교해서 둘 다 1인 비트만 1인 결과를 리턴한다. // Left 0b00000000000000000000000..

먼저 C++의 연산자 중에 비트연산자라는 것이 있다. 그럼 비트가 뭘까? 데이터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 라고 한다. 모든 데이터는 0과 1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, 이 0 또는 1이 하나의 비트가 된다 이때 1이나 0을 비트(bit) 라고 한다. 그리고 비트가 8 개가 모이면 바이트(byte)가 된다. 즉, 1byte = 8 bit 그럼 비트연산은 뭘까? 비트연산은 한 개 혹은 두 개의 이진수에 대해 비트 단위로 적용되는 연산이다. int a = 0; // int는 4바이트 4바이트는 32비트 int b = 0; // 이진표현법 a = 0b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; // 1 b = 0b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0; // 2 4바이트 정수형을 가..